자율신경검사란?(ANS 검사)
자율신경검사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 상태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반응, 회복력, 긴장도, 피로 수준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정신과에서 흔히 나타나는 불면, 불안, 우울, 공황장애, 만성 피로 등의 증상은 자율신경계의 불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해당 검사는 진단 및 치료방향 설정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 검사 목적
- 스트레스 반응 분석 : 현재 스트레스가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
- 교감·부교감신경 균형 확인 : 신경계의 과도한 항진 또는 저하 여부 파악
- 만성 피로, 불면, 불안, 우울의 원인 규명
- 약물치료 또는 Deep TMS 치료 효과 예측 및 평가
- 신체적 질환(빈맥, 두근거림 등)과의 연관성 배제 또는 확인
■ 검사 내용 및 구성
1. 심박변이도 분석 (HRV, Heart Rate Variability)
- 설명 : 일정 시간 동안 심박수의 변동 폭을 측정하여 자율신경계의 반응성과 회복탄력성을 분석
- 목적 :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 상태, 스트레스 민감도, 회복 능력 등을 수치로 평가
2. 스트레스 지수 (Stress Index)
- 설명 : 신체가 느끼는 스트레스 강도 및 반응성 측정
- 목적 : 만성 스트레스 또는 과도한 긴장 상태 여부 확인
3. 피로도 지수 (Fatigue Index)
- 설명 : 신경계 기능 저하로 인한 피로 누적 정도 분석
- 목적 : 피로와 수면장애, 무기력증 등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판단
4. 심장 건강도 및 안정성 지표
- 설명 : 심박수의 불규칙성과 심장의 반응 능력 측정
- 목적 : 심리적 긴장 상태가 심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 평가
5. 자율신경 밸런스 차트
- 설명 : 교감/부교감신경의 상대적인 활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차트 제공
- 목적 : 치료 전후 또는 스트레스 상태 변화에 따른 경과 비교
■ 검사 소요 시간 및 방법
- 검사 시간 : 약 10~15분 (비침습적, 통증 없음)
- 검사 방법 : 신체 부위(손목, 발목, 손가락 등)에 심박측정 센서를 연결하여 진행
- 검사 전 주의사항 : 카페인, 흡연, 격렬한 운동은 검사 전 피하는 것이 좋음
■ 검사 결과 활용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단 보조자료로 활용
- 불안장애, 공황장애, 우울증, 수면장애 등 환자의 신체적 반응 설명 근거로 사용
- 치료 전·후 변화 추적과 치료 효과 평가
- 상담 및 치료 외에 생활습관 개선(수면, 운동, 호흡 훈련 등) 지도에 반영